장애, 질병 등의 문제를 가진 가족들을 돌보는 청년들을 '가족 돌봄 청년' 또는 '영 케어러'라고 하는데요,
이들은 남들과는 다른 삶을 살 수밖에 없습니다.
부모님의 부모가 된 '영 케어러'가 전하는 이야기를 최광현 기자가 들어봤습니다.
[기자]
구로구에 한 오피스텔.
남들과 조금 다른 하루를 시작하는 김현주씨.
현주씨의 어머니는 7년 전 뇌출혈로 쓰러진 후, 오른쪽 전신에 편마비가 왔습니다.
생계를 위해 일을 해야 하는 아버지를 대신해 현주씨 혼자 어머니의 돌봄을 온전히 감내하고 있습니다.
[김현주 / 영 케어러 : 아침에 일어나서 먼저 하는 게 뭐 용변 보시고 제가 그거를 좀 채워드리고 이제 어머니가 계속 침대에 누워 계시다 보니까 어머니 운동 시켜드리는 게 제일 중요한 일과고요.]
현주씨와 같이 장애, 질병 등의 문제를 가진 가족을 돌보는 청년을 ‘가족 돌봄 청년' 또는 ‘영 케어러'라고 하는데요.
[김현주 / 영 케어러 : 한 2~3년 때까지는 정말 사랑만으로 ‘어떻게든 엄마를 살려내야 된다는 마음으로 돌봤는데 계속 지속되다 보니까 저 자신을 챙기지 못하고 계속 엄마와의 돌봄에서 헤어 나올 수 없는 그 굴레들을 계속 살다 보니까 당연히 지칠 수밖에 없더라고요.]
하루 중 그녀에게 유일한 자유시간은 요양보호사가 오는 4시간. 그마저도 온전히 쉴 수 없습니다.
[김현주 / 영 케어러 : 병원 하나를 가더라도 장애인 콜택시를 이용할 수밖에 없는 휠체어를 못 싣는다. 타는 속도가 너무 느리다 이런 이유로 승차 거부를 많이 당했어요.]
[김현주 / 영 케어러 : 신청해 놓고 좀 봐야 돼요. 과연 빨리 배차가 될 것인지. (예약을 하면 바로 오는 게 아니군요?) 아니에요. 이게 복불복이고 그러니까 제가 핸드폰을 계속 보고 있을 수밖에 없어요.]
당뇨 합병증으로 쓰러진 아버지를 13년째 간병하고 있는 조기현씨. 그는 살려고 발버둥치지만, 냉혹한 현실에 매번 좌절했습니다.
[조기현 / 돌봄청년 커뮤니티 n인분 대표 : 정말 살아야 하니까 공장 다니고 건설 현장 다니면서 벌었던 돈이 2인 가구 중위 소득이 넘기 때문에‘받을 수 없다'거나 혹은 아버지가 계속 아프고 스스로 자립을 못 하는데도 정확한 진단명이 없어서, 65세 미만이기 때문에 '다른 돌봄 서비스를 받을 수 없다‘라는 것들에서 나 혼자만 계속해야 하는 구나. 정말 살려고 조금 넘은 ... (중략)
YTN 최광현 (choikh816@ytn.co.kr)
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402252305533953
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
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
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